▲ 도한호 칼럼니스트

“컬처” 라는 말을 재미있게 사용하는 한 선배가 있다. 그는 어색한 경우에 맞닥뜨릴 때는 좋다 나쁘다 하지 않고 “컬처가 달라서” 하고 말해서 사람들의 마음을 가볍게 해준다.

알다시피 우리는 과거 어느 시대보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여러 대륙 사람들과 함께 살고 있다. 그러므로, 특히 사회지도층 인사는 자신의 주장을 세우기에 앞서 상대방이 속한 문화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자세부터 가져야 하겠다.

어떤 알프스 산간 지역에서는 한 여성이 남편의 형제들의 아내 역할을 하며, 일본에는 남녀 간에 혼욕(混浴) 하는 습관이 있다. 우리와는 다른 관습과 문화라 하겠다. 중요한 것은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일 것이다.

필자는 해외에 머무른 몇 년 동안 종종 인도인 유학생 가정에 식사 초대를 받은 일이 있었다. 내가 먹은 음식은 대게 쌀밥과 닭고기에 커리를 끼얹어 먹는 것이었는데 알다시피 그들은 수저를 사용하지 않고 오른 손으로 음식을 집어 먹는다. 그 집 주부는 때로 자신들이 손으로 음식 먹는 것을 약간 겸연쩍어하는 것 같았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거나 손을 사용하는 것은 음식을 먹는 방법의 하나일 뿐이다. 나는, 그 집 주부에게, 우리나라에서도 삶은 감자나 옥수수, 쌈, 수박, 과자, 오징어, 떡 등등 손으로 먹는 음식이 많다고 설명해 주었다. 또한 미국인들 역시 그들이 즐겨 먹는 샌[드]위치, 칙큰, 팝콘, 감자프라이, 초코렛 등등은 모두 손을 이용해서 먹는다. 문화적 차이일 뿐이다.

필자는 외국탐방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부끄러움을 느낄 때가 종종 있다. 점잖은 식당에서 다리를 꼬고 모자를 쓰고 앉아서 수저를 휘저으면서 큰 소리로 떠들거나 게걸스럽게 음식을 먹는 태도는 웃으며 보아 줄 수가 없다.

큰집에 맞열쇠(마스터키)가 있듯이 모든 문화에 통용되는 예절이란 것이 있다. 다른 문화권을 여행하려면 여권과 함께 이 마스터키도 휴대해 할 일이다. ‘컬쳐’가 다르다고 해서 충돌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무례한 언행이 충돌의 원인이 되는 것 같다.

 

저작권자 © 미래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