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찬주/ 국민의 힘 충남도당위원장, 전 육군대장

우리 국민이 서해에서 실종된 이후 軍에서 공식대응 할 때까지는 꼬박 사흘이 걸렸다.

 

청와대는 그 처참한 만행을 보고 받고도 36시간이나 공식대응을 미뤘다. 수수방관이나 다름없는 정부대응에 대한 의구심은 결국 대통령을 향할 수밖에 없다. 문대통령은 보고를 받고도 문화공연까지 관람했다고 한다.

 

나는 뒤늦은 대통령의 분노를 보며, 간 보다가 분노하는 척 하는 "간보기 분노"가 아닌지 의심마저 든다.

 

정부가 무책임하게도 섣불리 그 공무원의 월북 시도 가능성을 부각한 것은 처참한 총살의 의미를 범죄자의 말로인 것처럼 보이게 하여, 조금이나마 책임을 회피할 의도는 아닌지 의심스럽다.

 

대통령은 이렇게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나는 자세히 보고받지 못했고, 사안의 심각성도 느낄 수 없었다. 유엔연설은 계획된 것이라 어쩔 수 없었다".

 

 나는 전직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과 문대통령의 36시간을 비교하고 싶지는 않다.

그러나 전직대통령에게 그토록 가혹한 잣대를 들이댔던 당사자로서는 무엇인가 깨달음이 있어야 할 것이다.

 

군의 대응이 실망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이 정부 들어와서 우리 군의 모습은 국민들에게 든든함은커녕 걱정거리만 되어왔다. 많은 분들이 나에게도 묻는다. "군대가 이래도 괜찮으냐"고...

 

이런 평가를 받는 이유는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할 군대가 정치적으로 휘둘리다 보니 정치군인들이 득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정치적으로 군을 흔드는 세력만 나무랄 수는 없다. 흔든다고 해서 흔들리는 군 수뇌부의 책임이 더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사건에 대한 공식 발표 전 서욱 국방장관은 하루에 세 번 청와대에 불려갔다 한다.

비서실장이 불러서 가고 안보실장이 불러서 가고. 왜 불려 다녔을까?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는 국방장관의 무게가 이렇듯 가벼운데, 일선 지휘관들이 같이 흔들리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결과인지 모른다.

 

김관진과 같은 참 군인이 그리워진다.

 

저작권자 © 미래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